우기의 알 블로그 저자 한승욱이라고 합니다.
스스로 알을 깨고 나오는 새처럼
언젠가 알을 깨고 온전한 나 자신이 되었을 때, 그때를 기다리며 제 속에서 솟아 나오는 것을 글로써 표현하고자 합니다.
'개발 기술블로그'를 위주로 저 한승욱의 다양한 관심사, 생각, 철학 등을 포스팅합니다.
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며 백엔드를 동시에 구축해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렵고
번거로울 것이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json-server라는 것이 있는데, 내부적으로
lowdb라는 단순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REST API를 지원한다고 한다.
GET, POST, DELETE, PUT 메소드를 지원한다.
(POST, PUT 시에는 헤더에 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 작성 필수라고 함)
sqlite보다 더 단순한 db인 것으로 확인되는데,
주의 점으로는 직접 만든 db.json 파일에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고 갱신하는
방식이라 앱 재배포시 기존 데이터 전부 날라갈 수 있다고 한다.
json-server 설치 - (단발적으로 진행시 필요 없음. 아래 json-server 실행에서
설명)
npminstall json-server --save-dev
데이터베이스 작성
# room.json
{"room":[]}
#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 가능, 파일 이름도 마찬가지
json-server 실행
npx json-server ./room.json --port 4000# 실제 room.json 부분은 자신이 만든 json 파일명이 될 것이다.
뒤의 포트는 임의로 부여할 수 있음
npx를 통해 해당 패키지를 단발적으로 설치하고 실행함
[만약 npm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면?!]
json-server --watch room.json --port 4000
💡
npx는 임시적으로 패키지를 다운받고 실행시켜줄때 사용하는 명령어이다.
create-react-app과 같이 단발성으로 끝나는 경우 npx 사용을 권장한다고
한다. json-server 또한 npx를 통해 단발적으로 실행하는 것이 났다고 한다.
하지만 나는 하루에 여러번 실행할거고 앞으로도 자주쓸 것 같기에
json-server 설치 단계를 진행하였다.
리액트 - json-server
json-server란
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며 백엔드를 동시에 구축해서 사용하기에는 매우 어렵고 번거로울 것이다.
이를 해결하기 위한 솔루션으로 json-server라는 것이 있는데, 내부적으로 lowdb라는 단순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며 REST API를 지원한다고 한다.
GET, POST, DELETE, PUT 메소드를 지원한다.
(POST, PUT 시에는 헤더에 Content-Type: application/json 작성 필수라고 함)
sqlite보다 더 단순한 db인 것으로 확인되는데,
주의 점으로는 직접 만든 db.json 파일에 직접 데이터를 저장하고 갱신하는 방식이라 앱 재배포시 기존 데이터 전부 날라갈 수 있다고 한다.
json-server 설치 - (단발적으로 진행시 필요 없음. 아래 json-server 실행에서 설명)
데이터베이스 작성
json-server 실행
[만약 npm으로 설치되어 있는 상황이면?!]
json-server 설치
단계를 진행하였다.'기술개발 > React, Front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